본문 바로가기

칼럼

밥따로 물따로

모녀가 진료실로 들어온다. 어머니는 갑상선종양 쇼그렌증후군 레이노증후군 역류식도염이 있고,  딸은 생리통이 심하고 여드름이 있다. (이 생리통은 7년 전부터 생리 때마다 지속되고 있다)

이 모녀는 건강을 되찾으려고 여러가지 해보던 중에 '밥따로 물따로'라는 건강법을 하게 됐다. 이 건강법은 식사할 때 물을 마시지 않고, 물 마실 때는 냉수를 피하고 온수만 마시는 것이다. 그런데 이것을 하면서 증상은 더 악화되었다. 식사할 때 물을 마시지 않는 것은 소화액이 희석되지 않게 하려는 것이다. 냉수를 마시지 못하게 하는 것 역시 위가 냉각되어 소화효소 분비가 억제되는 걸 막기 위해서다. 이 건강법은 체질적으로 소화액분비가 약한 사람들, 수양체질 수음체질한테 맞다. 하지만 이 분들은 토양체질, 소화액분비가 항진되기 쉬워서 이 건강법이 오히려 해로웠던 것이다.

위 내부 온도는 소화효소를 분비하는데 중요한 조건이다. 열을 가해야 음식이 삭고 소화하기 쉬운 형태로 바뀐다. 그런데 이 열은 너무 과해도 문제, 너무 부족해도 문제다. 너무 과열되면 위벽이 헐거나 소화액이 식도로 역류하고 너무 부족하면 소화가 덜 되어 더부룩답답하거나 잘 체한다. 적당한 균형상태를 유지해야 하는데 그것은 섭취하는 음식에 달려있다. 위열이 과열되기 쉬운 사람은 그 열을 시원하게 식혀주는 음식 위주로 섭취해야 한다. 물마실 때도 시원하게 마셔야 한다. 얼음을 넣어 마시는 편이 좋다. 또 위열을 항진시키는 열성향신료(고추 파 양파 생강 후추 겨자 카레)는 피해야 한다. 한국 불교에서는 수행을 위해 이런 열성향신료, 특히 오신채五辛菜를 피했는데 아마도 그것이 해로운 체질의 사람들이 그 종교를 만들었기 때문에 이런 경향을 보이는 것 같다. 그 종교 참여자들은 그 종교의 가르침에서도 삶의 의미를 찾았겠지만 그 수행법이 자기 체질과 맞기 때문에 그것을 더 긍정했을 것이다.[각주:1]

반대로 위열이 부족한 수양체질 수음체질들은 열성향신료를 음식에 충분히 넣어서 소화효소 분비를 도와야 한다. 동남아시아 요리에 이런 열성향신료들이 발달했는데 이것 역시 열성향신료가 필요한 체질들이 그 지역에 많이 살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열성향신료들은 실크로드를 통해 유럽까지 전달되어 요리문화를 바꿨다. 체질적인 관점에서 보면 필연적이다. 그것이 필요한 체질들이 경제적 수요를 만들어내고 그것이 문화를 바꾼 것이다.

이 분들은 몸이 차서 찬물을 마시면 해롭겠거니 하여 온수를 마시라는 밥물('밥따로 물따로 건강법'의 줄임말)을 열심히 실천했으나 발은 점점 차가워질 뿐이었다. 필자는 완전히 반대로 할 것을 권고했다. 침치료하면서 체질적으로 맞는 음식법을 알려주고 물은 냉수만 마시라고 권고했다. 환자분들은 정반대건강법을 듣고 처음에는 놀랐지만 무엇보다도 기존 방법으로는 문제가 악화되고 있었기 때문에 새로운 시도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것 같았다.

딸은 다른 한의원에서 처방해준 한약을 복용중이었는데 그 한의원에 문의해보니 향부자香附子[각주:2]를 군약君藥[각주:3]으로 쓴 처방이었다. 향부자는 토양체질한테는 해로울 수 있어서 복용을 중지시켰다. 칡즙도 복용중이었는데 칡은 갈근葛根이라는 한약재로 목양체질 목음체질한테 쓰는 약재이기 때문에 역시 복용을 중지시켰다.

5일이 지나서 딸이 "찬물을 마셨는데 오히려 따뜻해졌다. 수면양말 벗고 자도 괜찮다"고 한다. 또 그로부터 2일 후 생리를 시작했는데 생리통 지속시간이 많이 줄었다고 한다. 원래는 12시간 정도였고 구토까지 했는데 통증시간이 3~4시간으로 줄었고 구토도 없었다고 알려주었다.

어머니는 치료받으면서 식욕이 항진되었던 것이 가라앉았다. "먹어도 먹어도 계속 먹고 싶었는데 그것이 잠잠해졌다"는 것. 토양체질 병리의 한 형태에서는 몸이 안좋아질수록 위열이 끓어올라 입맛이 당긴다. 이것을 몸이 좋아지는 것으로 착각하여 당기는대로 계속 먹다가는 몸이 망가진다. 사실, 이렇게 당겨지는 식욕은 심리요법으로 컨트롤할 수 없다. '뭔가를 먹고 싶은 마음'은 병의 결과이지 원인이 아니기 때문이다. 어떤 경우, 결과 자체를 바꾸려는 시도는 되먹임을 겪을 수 있다. 다이어트한다고 조금만 먹다가 다이어트 기간이 끝나고 폭식을 하는 경우는 너무도 흔하지 않은가? 이것은 결과를 컨트롤하려고 했기 때문에 벌어지는 일이다. 병을 치료할 때는 반드시 근본원인을 치료해야 한다. 토양체질이 열성향신료를 입에 달고 살 때 그 결과로 식욕이 항진된다. 따라서 음식을 바꾸어야 한다. 그 때 비로소 더 먹고 싶은 마음은 자연스럽게 물러간다. 요새는 식욕항진과 비만이 겹치는 경우 수술로 위의 일부를 잘라내기도 하는데 이런 거친 방법보다 음식을 바꾸는 것이 더 간단하며 근본적이다.  


  1. 예로부터 선식일여禪食一如라고 하여 정신수행의 기본은 음식을 조절하는 것이라고 했다. 마음은 몸과 별개가 아니라 하나이기 때문이다. 일부 종교에 남아있는 심신이원론은 이제 폐기되어야 한다. 마음은 몸이라는 토양 위에서 피어나는 꽃과 같은 것이며 몸 그자체이다. 따라서 마음이 불안하다면 몸을 먼저 살펴야 한다. 필자가 서울에서 잠시 한의원을 하고 있을 때 우울증에 걸려있고 감정기복이 심한 환자가 찾아온 적이 있다. 그런데 이 환자는 아주 극심한 변비증상을 보이고 있었다. 필자가 볼 때는 누구라도 그 정도로 변비가 있다면 우울해질 것 같았다. 체질에 맞지 않는 음식과 약을 달고 사니 변비가 있는 것이고 변이 통하지 않으니 우울해진다. 이 환자가 만일 음식을 조절하지 않고 자기의 우울함을 단순히 심리적인 문제로 치부하거나 그 해결법으로 종교적인 기적에 의존한다면 상황이 바뀔 수 있을까? [본문으로]
  2. 향부자는 이기약류理氣藥類f로 분류되는데 이기약류 대부분은 그 향이 강하고, 이렇게 향이 강한 식물들은 정신적 긴장을 완화하고 식욕을 촉진한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위열이 끓어오르기 때문에 토양체질한테는 해롭게 작용하는 것이다. 아로마제품들도 대부분 이와 비슷한 효과가 있기 때문에 토양체질이라면 그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다. [본문으로]
  3. 한약처방은 군신좌사君臣左士라는 구조로 구성된다. 하나의 처방 안에서 여러 약재가 각기 자기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군君은 약효의 가장 큰 방향을 설정하는 약재다. [본문으로]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성비염  (0) 2013.01.24
포부자  (0) 2013.01.23
사랑니  (0) 2013.01.10
전립선염  (0) 2013.01.01
벌침에 쏘인 환자  (0) 2012.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