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체질식

방심 오래 전 함께 일했던 직원분이 떠나면서 책을 많이 기증해주셨다. 그 책들은 환자분들을 위한 것이려니 해서 필자는 보지 않다가 문득 책 한 권이 눈에 띄었다 '암, 그렇고 말고' 라는 책인데 한의사 박태열 원장이 쓴 방광암 투병기다. 그는 1993년 방광암에 걸렸다가 1996년 권도원 박사(한의사, 8체질의학의 창시자)에게 치료받고 완치(박태열 원장은 다른 병원에서 방광경 검사와 소변 세포 검사 등으로 완치를 확인받았다)되었지만, 무절제한 생활 끝에 1998년 재발하였다. 그리고 나서 이전처럼 치료 효과가 빨리 나오지 않자 조급한 마음에 다른 병원에서 광역학 요법을 시술받고 돌이킬 수 없이 악화되어 결국 방광을 잘라내게 된다. 그는 이렇게 회고한다. "한 순간의 자만과 방심이 그 기적같은 일을 일장춘몽으로.. 더보기
음식으로 마음 다스리기 수년 전 모녀가 함께 치료를 받으러 온 적이 있다. 어머니는 교통사고 후유증으로, 따님은 피로증후군으로 보약을 지으러 왔는데, 따님의 표정이 매우 밝아보였다. ‘100퍼센트 긍정의 표정이란 저런 것일까?’라는 느낌이 들 정도였다. 하지만 진찰 과정에서 이 분이 우울증으로 렉사프로를 복용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 분처럼 젊은층의 향정신성의약품(이후 향정으로 표기)의 복용이 급증하고 리스트컷이 유행하는 등 정신의학적인 관점에서 보면 사회 전체적으로 병이 시름시름 깊어가고 있다. 불안과 분노를 달래고자 약물에 의존하는 것. 하지만 향정은 강한 의존성이 있어 마약과 별 차이 없고 장기 복용시 폐인이 되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요구된다.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우는 격. 근본치료를 방해할 것이 분명하여 중단을.. 더보기
원형탈모 지난 초여름 30대 초반의 남성이 그 어머니와 함께 온 적이 있다. 본인 말로는 급격한 다이어트로 1년새 10kg을 감량하였는데 그 때부터 탈모가 시작되었다는 것. 두정부를 확인해보니 많이 비어 있다. 원형탈모였다. 식습관은 아침에 블루베리, 바나나, 우유를 먹고 저녁에는 생식을 한다. 체질이 목양체질로 감별되어 블루베리와 바나나를 빼고 우유를 마실 떄는 데워 먹거나 버터나 치즈 등 다른 유제품으로 먹으라고 권하였다. 생식도 중단하고 매일 육식을 하라고 권고했다.(생식은 곡류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위열이 강한 체질들에게 맞다. 위가 기능적으로 약하게 타고난 목양체질은 가능한 화식火食을 하는 편이 낫다) 거주하는 지역이 서울이라서 매일 침치료는 어려웠다. 체질에 맞는 약을 지어주고 체질침 치료는 주말.. 더보기
교통사고후유증과 졸음 쾌활한 표정의 중년남성이 진찰실로 들어왔다. 버스운전 중 교통사고로 목과 허리가 아프고 오른쪽 팔 다리가 심하게 저린다. 증상만 보면 추간판탈출증과 비슷하다. 평소 숙면을 취하지 못하고 혈압강하제를 복용한다. 전립선이 안좋아서 아보다트를 복용중이다. 체질을 진찰해보니 목양체질이다. 체질침과 물리치료를 병행하면서 1주 정도 지나자 환자가 자각하는 통증이 처음의 60퍼센트 수준으로 줄었고, 5일을 더 치료하면서 30퍼센트 수준으로 줄었다. 저림 역시 처음의 20퍼센트 수준으로 줄었다. 이 분은 잠을 잘 이루지 못하였는데 운전을 업業으로 하기에 잠을 쫓으려고 커피를 많이 마시다보니 정작 자야할 때는 숙면을 취하기 어렵다고 하였다. 수면은 통증치료에서 상당히 중요하다. 정상적인 수면을 취하지 못하면 통증도 더디.. 더보기
근본치료 가끔 오시는 환자분이 중년여성을 데리고 진찰실로 들어오셨다. 여성분은 마치 기모노를 입은 여성처럼 조심스럽게 걷는다. 소개해주신 분의 말에 따르면 "아토피가 심하다"고 한다. 팔 다리를 보니 극심하게 헐어있다. 10년 전에 옻독이 올라서 피부과를 갔는데, 거기서 주는 약을 먹고 좋아지길래 나았나 싶었으나 약을 끊으면 재발을 반복할 뿐 아니라 피부염이 점점 더 심해지더라는 것. 지금은 온몸의 피부가 다 헐고 진물까지 흘러나온다는 것이다. 증상이 너무 심해서 체질약과 체질침을 병행하기로 했다. 1달 치료하면서 상체는 다 나았는데 다리가 잘 안낫는다. 다리의 증상을 처음 10이라 할 때 4까지는 떨어졌는데 더이상 진척이 보이지 않는다. 환자분 스스로 고백하기를, 좋아지다 보니 다시 체질식을 신경쓰지 않고 아무.. 더보기
테니스 엘보우 건강하게 그을린 피부의 40대 남성이 진찰실로 들어왔다. 평소 테니스를 즐기는데, 오른쪽 팔꿈치를 펼 때 통증을 심하고 굽혔다 폈다 하는 동작이 부자연스럽다는 것. "주말에 대회가 있다"고 하면서 빨리 나을 수 있는지 물어보시는데, 필자가 보기에는 다 나은 다음에도 최소 1달 정도는 휴식이 필요할 것으로 보였다. 이 환자분의 증상은 테니스엘보우, 손목의 신전근이 팔꿈치 외측상과에 붙는 지점에서 염증이 생긴 것이다. 보통 테니스를 치다가 많이 오기 때문에 '테니스엘보우tennis elbow '라는 이름이 붙었는데, 사실 테니스 뿐 아니라 골프나 배드민턴 선수들한테도 많이 발생한다. 처음에는 목음체질로 진찰하고 침치료를 했는데 다음날 통증 범위가 확대되어서, 다시 진찰 후 목양체질 침치료를 하였더니 차도가 .. 더보기
두드러기 모자를 쓴 60대 남성이 진찰실로 들어왔다. 피부병 때문에 오셨다고 한다. 4년 전 오른쪽 허벅지에 습진이 생겼는데 연고제를 바른 후 사타구니와 음낭부위로 갈매기모양처럼 번지더라는 것. 그래서 집근처 피부과에 가서 치료를 받았는데 점점 두드러기로 변했고, 일산 큰 병원에서 혈액검사를 받은 다음 동네 피부과에서 약물치료를 수달간 받았으나 재발을 거듭하였다. 그리고 다시 교하에 있는 병원으로 가서 약을 타 먹었으나 더 심해질 뿐 좋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아서 이곳으로 찾아왔다는 것이다. 이 두드러기는 땀을 내면 악화되는 듯 하여 더운물로 목욕을 못하고 냉수욕을 하루에 두 번 해야 가려움이 잠시 가라앉는다고 하였다. 또 직업상 운전을 많이 하는데 오래 앉아있다 보면 음낭 밑에 땀이 차면서 두드러기 발진과 가려움.. 더보기
극심한 타박상 작년 겨울 쯤, 마른 체구의 50대 여성이 오른쪽 팔을 부여잡고 진찰실로 걸어온 적이 있다. 음식점에서 일하시다가 음식 나르는 엘리베이터에 팔이 끼는 바람에 극심한 통증과 다섯손가락 모두 감각마비가 왔다는 것. 사고 직후 병원 두 곳에서 엑스레이를 찍어보았는데 골절은 아니었다. 하지만 손가락 감각이 전혀 돌아오지 않고 팔의 통증이 극심하여 건드리지도 못할 정도였고, 병원에서 준 진통제를 먹고 극심한 변비와 혈뇨가 나타나 복용을 중단하고 필자의 클리닉을 찾아 왔다. 환부를 살펴보니 피부는 변색되었는데 크게 부어있지는 않고 다만 힘줄이 단단히 뭉쳐 있다. 환자의 말에 따르면, 사고 직후에는 눌린 부위가 선명하였고 심하게 부어올라서 다른 사람들도 모두 놀랄 정도였다고. 진찰 후에 금음체질침을 시술하였는데 다음.. 더보기
와타나베 다츠오 8체질의학에서 제시하는 체질식이요법을 실천하면 치아질환이나 입냄새가 크게 줄어든다. 하지만 체질식을 실천하였는데도 불구하고 그런 증상이 남아있다면, 칫솔질 방법을 재검토해야 한다. 필자는 와타나베 다츠오(일본 오카야마 치과대학 교수)가 주창한 칫솔질 방법을 추천한다. 이것은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그 방법은 칫솔을 경사지게 세워서 이 사이에 끼워넣고 부드럽게 몇 번 흔들어주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처음에는 잇몸에서 피가 많이 나오다가 칫솔질 회수가 거듭될수록 피가 안나오게 된다. 그리고 잇몸이 튼튼해지고, 이가 흔들리는 증상도 사라진다. 잇몸이 튼튼해지면서 치아와 구강의 상태가 호전되는 것이다. (그는 이런 칫솔질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독특한 두줄모칫솔을 개발했.. 더보기
당뇨의 근본치료 당뇨병은 ‘만성적인 고혈당 상태’다, 즉 혈액 속에 당이 지나치게 많은 상태가 지속되는 것이다. 그 증상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소변에서 당이 지나치게 많이 검출되기 때문에 당뇨糖尿라고 한다. 현재 당뇨병은 혈당 수치상으로는 공복혈당이 126㎎/dL 이상이거나 식후 2시간째의 혈당이 200㎎/dL이상일 경우로 정의된다. 한의학의 여러 문헌에서는 예로부터 당뇨병을 “소갈消渴”이라고 하고, 소갈을 다시 상소上消, 중소中消, 하소下消로 세분하여 그 치료를 달리 하였다. 또한 동의수세보원에서는 당뇨 합병증인 궤양에 대해서 인식하고 주의를 당부하였다. 당뇨의 원인은 체질에 맞지 않는 식습관이다. 체질에 맞지 않는 식습관은 장부의 과불균형을 유도하고, 당뇨병은 그 과불균형에 대한 보상으로 나타난다. 당뇨는 8체질의학..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