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류성 식도염 소화계질환 중 흔한 것이 역류성 식도염입니다. 목으로 신물이 넘어온다거나 목이 쓰리거나 가슴이 뜨거워지는데 목에 뭔가 걸려있는 느낌이 있기도 하고 기침이 나올 때도 있어 기침감기로 착각하기도 합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한의학적으로 위열胃熱 때문에 생깁니다. 위열은 위의 기능이 지나치게 항진된 상태, 쉽게 말해서 소화액 위산이 과다분비되는 상태입니다. 소화액이 위에서 역류해서 식도를 자극하는 것입니다. 원인은 체질에 맞지 않는 음식을 섭취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역류성식도염 환자는 위염이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위염으로 시작했다가 식도염으로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이 있으면 반드시 체질식을 하고 야식을 하지 말아야 합니다. 우리는 먹거리가 지나치게 넘치는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식생활에 있.. 더보기 소화불량 가끔 음식을 먹고 체해서 오는 분들이 있습니다. 체하면 토하거나 설사도 하는 분들도 있고, 그냥 더부룩답답하거나 배에 가스차서 빵빵해지는 분들도 있습니다. 사실 체했을 때 토하거나 설사하는 것은 좋은 반응입니다. 그것은 제대로 소화 못한 음식을 밖으로 내보내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토하거나 설사한다면 오히려 원기가 좀 있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치료도 빨리 됩니다. 토하거나 설사하는 것은 음식을 급하게 먹거나 과식할 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토하거나 설사하면 아예 한 끼 정도는 거르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조금씩 식사량을 늘려야 합니다. 당연히 천천히 먹어야겠죠? 체했을 때는 물을 마시는 게 탈수를 방지하기 때문에 좋을 수도 있지만 어떤 증상에서는 오히려 해롭기도 합니다. 이것을 한방에서는 수역水逆이라고 하는.. 더보기 요통 (허리를 삐어서 아픈 경우) 허리통증 대부분은 허리를 삐어서 옵니다. 환자분들은 흔히 "근육이 놀랐다"고 표현합니다. 이것을 한방에서는 좌섬요통이라고 합니다. 허리 삐는 경우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무거운 물건을 들다가 세면대에서 세수하다가 술에 취해서 비틀거리다가 의자에 오래 앉아 있을 때 컴퓨터 작업을 오래 할 때 설겆이 자세가 안 좋아서 허리보호대를 오래 착용해서 엎드려 누워 잘 때 성행위를 불편한 체위로 할 때 운동을 지나치게 할 때 지나치게 오래 누웠다가 돌아누울 때 평소 허리근육이 약하면 무리한 동작을 취했을 때 쉽게 허리를 삡니다. 또 허리근육은 튼튼하지만 몸무게가 너무 많이 나가서 허리가 지탱하기 힘들어도 허리를 삐게 됩니다. 가벼운 증상은 1회~3회 치료로도 많이 호전됩니다 허리 아플 때는 진통제 파스에 의존하지 .. 더보기 이전 1 ···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