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칼럼

감기는 해표발산解表發散해야

가벼운 감기에 대증요법을 되풀이하면 점차 뇌수막염으로 발전한다. 찬 바람 맞고 감기가 오면 차가워진 몸을 덥히려는 자기보호 메커니즘에 의해 열이 나는데 이런 이치를 모르고 해열제로 그 열을 식혀버리면 몸이 스스로를 데우려는 과정을 방해한 셈이 되어 몸은 반사적으로 더 강한 재발열을 유도한다. 습관적으로 해열제를 사용하여 이런 과정을 거듭하다가 열이 어느 임계점을 넘어버리면 결국 뇌를 치는데 이 상태가 뇌수막염이다. 그렇게 열이 뇌를 자주 치면 열성경련이 오고 뇌전증이나 자폐로 간다.

그래서 필자는 아이들에게 해열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제작년 겨울 첫째와 둘째가 번갈아가면서 열이 났는데 브라운 체온계로 39도까지 올라갔다. 사실 아이들이 이 정도까지 열이 오른 것은 태어나서 처음이었다. 필자의 아이들은 체질식 덕분에 지금까지 심하게 앓아본 적이 없다. 그 날은 늦게까지 찬바람을 쐬고 놀았던 것 같다. 이마를 만져보니 뜨끈뜨끈하고 발은 찼다. 첫째가 아플 때는 열이 뇌를 자극하는지 잠꼬대를 심하게 하였다. 필자는 39도까지 지켜보다가 체질에 맞는 해표발산제를 투여했다. 약을 빨대젖병에 넣어주니 아이가 알아서 빨아먹고 잠이 들었다. 이 처방은 전신의 순환을 도와서 머리로 집중된 열을 사지로 분산시킨다. 이렇게 하면 몸이 스스로를 데우는 과정을 방해하지 않고도 머리의 열을 떨어뜨릴 수 있다. 아이는 다음날 정상 체온을 되찾았다. 동의보감에서도 '변증후變蒸候'라고 하여 아이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주기적으로 감기열 비슷한 증세가 올 수 있으니 함부로 독한 약을 쓰지 말고 가벼운 발산제 정도로 다스리라고 권고하고 있다.

오늘날은 자폐아가 급증하고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예전보다 의료접근성이 향상된 결과다. 예전에는 이마에 물수건이나 올려주면서 열이 떨어지길 기다렸고 더 강한 재발열을 초래할 수 있는 대증약물의 폐해를 덜 겪었다. 하지만 지금은 조금만 열이 올라도 해열제로 멈추려고 드니 몸이 스스로를 히팅heating하는 과정이 완료될 수가 없고 그에 따라 더 강한 재발열을 초래하여 결국 사단이 나고 마는 것이다.

조승우 배우가 열연한 영화 '말아톤'은 자폐가 있는 주인공이 마라톤에 도전하는 이야기이지만 그 보호자의 '양육 마라톤'이기도 하다. 정상 아동이라면 부모가 언젠가 양육에서 해방될 수 있다는 희망이 있지만 자폐아의 양육은 그런 희망이 없다. 그것은 '영원히 끝나지 않는 레이스'가 되어 부모들의 가슴을 짓누른다.

자폐아가 된 다음 치료법을 찾는 것은 소잃고 외양간 고치는 것이다. 8체질의학으로 초기라면 치료 가능성을 찾아볼 수 있을지 모르나 이미 자폐증세가 뚜렷하게 나와서 수년이 흘러버렸다면 돌이키기 어려울 것이다. 그러므로 자폐는 치료보다 예방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아직 자폐가 안된 건강한 아이들을 보호해야 한다. (치매에 대해서도 이와 비슷한 관점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임신시 체질에 맞게 섭취하여 모체母體의 안정을 유도하고, 출산 후에는 아이 체질에 맞게 먹이고, 열이 날 때는 체질에 맞는 해표발산제를 사용해야 한다. '해열제를 써도 우리 애는 괜찮을 거야'라는 안일한 생각과 열이 왜 오는지 살피지 않고 단순무식하게 열만 끄려는 무지가 합쳐져서 아이를 자폐로 이끌고 소중한 가정을 파괴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지우식  (0) 2023.04.19
엽산과 불임  (0) 2023.04.19
항암교  (0) 2023.01.20
황혼의 이혼  (0) 2023.01.18
탈모약 부작용  (0) 2023.01.03